mongodb
-
3. Database 생성 및 Collection 생성IT/MongoDB 2021. 3. 17. 00:12
1. Database 생성 * 새롭게 Database를 생성하기 위해 명령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Database를 전환하는 명령어를 입력하고, 데이터를 insert 하면 자동으로 Database와 Collection이 생성됩니다. use testDB db.testcollection.insertOne({a:1}) * 위와같이 자동으로 생성이 완료됩니다. insertOne() 은 Document 하나를 입력하는 명령어 입니다. 2. Collection 생성 * 존재하지 않는 collection을 생성 해 봅니다. db.test2.insertOne({b:2}) show collections * 위에 생성했던 testcollection 과 새롭게 생성된 test2 collection이 보입니다. 3. 명시적인..
-
2. MongoDB 설치 및 설정IT/MongoDB 2021. 3. 16. 23:34
* 우분투 20.04 기준의 설정입니다. 1) 공개 키 가져오기 * 패키지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할 공개키를 가져와야 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wget -qO - https://www.mongodb.org/static/pgp/server-4.4.asc | sudo apt-key add - * 위 명령어 수행중 gnupg와 관련한 에러메시지가 출력된다면 다음 명령어를 먼저 수행 한 후 위의 명령어를 다시 수행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gnupg 2) list 파일 생성하기 * MongoDB를 위한 list 파일을 생성합니다. ubuntu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20.04 기준입니다. echo "deb [ arch=amd64,arm64 ] https://repo...
-
1. NoSQL 과 MongoDBIT/MongoDB 2021. 3. 16. 23:02
1. NoSQL * "Non Relational Operation Database SQL" 의 줄임말로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SQL" 입니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의 중복과 무결성 보장을 위해 정규화를 하는데, 여기서 테이블간의 Join으로 인한 성능저하가 발생합니다. * NoSQL은 아래와 같이 중첩 데이터의 형태로 불필요한 Join을 최소화 시킵니다. { _id: , name: "helloworld", desc: { age: 36, email: sgsgbaek@gmail.com" } } * NoSQL의 장점 1) 불필요한 Join의 최소화로 속도 향상 2) 유연성있는 서버 구조 제공 3) 비정형 데이터 구조로 설계비용 감소 4) Read/Write가 빠르고 빅데이터 처리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