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리눅스 SSH 접속 포트 변경, 인증방식 변경IT/Linux 2020. 9. 17. 20:04
*server 접속시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ssh의 포트 변경방법, 인증방식 변경에 대해서 알아본다. 해당 설정은 sshd_config 파일을 변경함으로써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shell> sudo vi /etc/ssh/sshd_config (내용 수정) ... Port 2000 -> ssh 접속시 2000번 포트로 접속 ... PubkeyAuthentication no -> public key 를 통한 접속 허용 안함 ... PasswordAuthentication yes -> id/pw 입력 방식으로 접속 ... shell> sudo service ssh restart -> ssh 서비스 재시작 (적용) shell> sudo vi /etc/motd-> 접속시 출력할 문구 수정 ... 출력내용 ...
-
리눅스 Hostname 변경, 유저 그룹 추가, sudoers 등록IT/Linux 2020. 9. 17. 19:56
* WAS 서버를 구축할 때, 서버 환경 설정을 위해 사용자 그룹과 유저를 admin과 user 로 나눠서 설정하고, 그에따른 추가 셋팅들을 알아본다. 1. Hostname 변경 shell> sudo vi /etc/hostname hostname 기입 후 저장 2. 유저 그룹 추가 - groupid 300인 sgsgbaek.app system 그룹 추가 - groupid 200인 sgsgbaek.adm system 그룹 추가 shell> sudo groupadd sgsgbaek.app -g 300 shell> sudo groupadd sgsgbaek.adm -g 200 3. 유저 추가 shell> sudo useradd sgsgbaekusr -u 1001 -g sgsgbaek.app -d /home/sg..
-
리눅스 그룹 생성/확인/추가/삭제 - groupaddIT/Linux 2020. 9. 17. 15:48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를 생성하면 자동으로사용자명과 같은 그룹이 생성된다. 따라서 리눅스에서는 자신의 계정 이름과 동일한 그룹에 반드시 속하게 되며, 특정 그룹을 만들어서 기존 사용자들을 소속되게 할 수도 있다. 1. 그룹 추가 (groupadd) - groupadd 명령어로 생성되는 그룹은 옵션이 주어지지 않는 이상 500 이상의 GID 부터 순서대로 그룹이 생성된다(-r 사용시 예외) shell> groupadd hellogroup - 특정 GID를 할당하여 그룹 생성 shell> groupadd -g 800 hellogroup - 시스템용 그룹 (GID449 이하) 를 생성 shell> groupadd -r syshellogroup 2. 그룹 생성 확인 shell> tail -f /etc/gr..
-
2.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IT/Database 2020. 9. 13. 15:55
1.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진행 가.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추상화 수준이 높고, 업무 중심적이고 포괄적 수준의 데이터 모델링 진행 - 조직 사용자들의 데이터 요구사항을 찾고 분석하는데서 시작한다. - 핵심 엔터티와 그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엔터티-관계 다이어그램을 생성한다. 나.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시스템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업무에 대해 Key, 속성, 관계 등을 정확하게 표현, 재사용성이 높다. - 모델링이 최종적으로 완료된 상태로, 물리스키마를 설계하기 전 단계의 데이터 모델 상태이다. - 정규화를 통해 모델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중복을 제거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얻는 활동을 포함한다. - 논리 데이터 모델의 상세화는 식별자확정, 정규화, M:M관계 해소, 참조 무결성 규칙 정의 등을 ..
-
1. 데이터 모델의 이해IT/Database 2020. 9. 13. 15:13
1. 모델링의 이해 가. 모델링의 정의 - 현실 세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해서 일정한 표기법에 따라 표현 해 놓은 모형. - 커뮤니케이션 효율성을 극대화 한 일종의 표현 방법 나. 모델링의 특징 - 추상화 : 현실 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한다. - 단순화 : 복잡한 현실 세계를 약속된 규약에 의해 제한된 표기법이나 언어로 표현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명확화 :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대상에 대한 애매모호함을 제거하고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한다. 즉 모델링을 다시 정의하면, '현실 세계를 추상화, 단순화, 명확하 하기 위해 일정한 표기법에 따라 표현하는 기법' 이라 할 수 있다. 다. 모델링의 세가지 관점 - 데이터 관점 : 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지, 또는 데이터간의..
-
2. Test Double 의 개념IT/Unit Test 2020. 9. 11. 11:14
1. Test double 이란?? - 실제 객체를 대신해서 테스트에 사용하는 모든 방법을 호칭하는 것이다.(영화 촬영의 스턴트 더블에서 유래함) 네트워크 API를 통해 어떤 정보를 받아서 수행하는 로직을 테스트한다고 가정하자. 테스트시 실제 네트워크 API를 그대로 사용하면, 테스팅은 네트워크의 영향을 받을것이고, 항상 같은 조건에서 테스트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지키지 못한다. 실제 사용하기 어렵고 모호할 때 대신 해 줄 수 있는 객체를 만들어 테스트 하도록 돕는다. 2. Test Double 의 종류 * dummy - 가장 기본적인 test double 유형, 구현이 포함되지 않고 매개변수 값으로만 필요하며, 실제 동작이 필요 없을 때 사용한다. - 인스턴스화 된 객체가 필요할 때만 사용된다. - 실제..
-
1. 유닛 테스트(Unit Test) 의 기본 개념IT/Unit Test 2020. 9. 10. 18:54
1. 유닛 테스트란?? - 소스코드의 특정 모듈이 의도된 대로 정확히 동작하는지 검증하는 절차, 모든 함수에 대한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한다. - 구현 단계에서 각 모듈의 개발을 완료한 후 개발자가 명세서의 내용대로 정확히 구현 되었는지 확인한다. - Unit Test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그에따라 개발하는 방법 (TDD - Test Driven Development) 기법도 존재한다. - 이상적으로, 각 테스트 케이스는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2. 유닛 테스트의 필요성 - 전체적인 목적은 버그를 줄이고 코드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 수행한다. - 프로그램을 작은 단위로 쪼개서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검사하고, 이를통해 문제 발생시 어느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 리팩토링을 진행할 때, 후에도 해당 ..